널 어디로 분류하면 좋을까

마광수의 행복철학, 마광수 행복론 (下)

두윤팔 2022. 2. 12. 17:20
728x90
반응형
SMALL

 

1. 인생에 별 기대를 걸지 말아야 '웬만큼' 행복해질 수 있다.'과도한 기대'는 '과도한 절망'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2. 허무주의를 삶의 지표로 삼아라. 그러면 어떠한 어려움과 고난이 닥쳐오더라도 어느정도 견뎌낼 수 있다.

 

 

3. 비교적 행복한 삶을 살아가려면 '적극' 보다 '소극'을 택하는 편이 낫다. 부조리한 삶의 전쟁터에서 적극적으로 앞서 나가봤자 대박이 나기보다 처참하게 실패할 확률이 더 높다.

 

 

4. '자존감'. '의지력', '긍정적 사고'. '패기', '용기'..... 이런 말들이 우리 주위를 떠돌아다니며 은근히 압력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그런 말들에 너무 겁먹지 말길 바란다. 나는 젊었을 때 어느 미국 목사가 쓴 『정신력의 기적』이라는 책을 읽고 반한 적이 있는데, 요즘 다시 읽어보니 처음부터 끝까지 독자에게 '허망한 희망'을 심어주려고 세 치 혓바닥을 잘도 놀려대고 있었다. 행복은 '무모한 정신력'에 의해 찾아오는 것이 아니다. 행복은 '느긋한 체념'으로부터 온다.

 

 

5. 인간은 우주 속에서 한 알의 먼지보다도 작은 존재이다. 그러한 인간의 삶에 무슨 큰 의미가 있을 것인가. 삶에 의미를 두지 말아야 한다. 그러면 어느 정도 불평이 줄어들게 되고, 작은 행복감(感)이나마 맛볼 수 있게 된다.

 

 

6. 거듭 말하지만 삶을 하찮게 여겨야만 작은 행복이나마 누릴 수 있다. 싫다고 하면 부여잡는 것이 '사랑'인 것처럼.

 

 

7. 인생은 <우울 → 기분전환 → 기쁨 → 권태 → 절망 → 생존본능의 회복 → 기쁨 → 다시 권태 → 우울>의 연속이다.

 

 

8.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그것을 차근차근 실천해나간다고 해서 원하는 결과가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인생살이는 그때그때 본능이 시키는대로 '벼락공부' 하듯이 살아가는 게 낫다.

 

 

9. 타고난 성품을 바꿀 수는 없다. 공연히 마음 (또는 인격) 수양이네 어쩌네 저쩌네 하면서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

 

 

10. 사람들은 대충 두 부류로 나뉜다. 하나는 '복습형'이고 하나는 '예습형'이다. 복습형 인간은 늘 과거에 대한 회한에 젖고, 예습형 인간은 늘 미래에 대한 공포에 떤다. 하지만 내 경험으로는 예습도 복습도 다 필요 없다. 다만 '현재의 쾌락'이 가장 소중하다. 그리고 '쾌락'은 곧 '행복'이다.

 

 

11. 우리가 세상에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행복이고 불행이고 따질 필요조차 없다. 하지만 자살하지 않고 그냥 살아갈 경우라면 자기가 처해있는 상황과 재능, 성격 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편이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한결 낫다.

 

 

12. 사람들은 모두 '태어나서, 고생하다, 죽는다'. 이 사실을 미리 알면 마음이 편안해질 수 있다.

 

 

13. 어느 누구에게든 '조언'을 구하지 마라. 다들 건성으로 대답해줄 뿐 남의 삶에 진정어린 협조자가 되어줄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우리는 혼자 나왔다 혼자 죽는 외로운 인생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부모, 형제, 남편(아내), 친구...결국엔 다 소용없다. 그러니 어떤 사람의 눈치도 보지 말고 의지도 말고 살아야 한다. 그러한 처신의 결과는 '실질적 행복'으로 내게 되돌아온다.

 

 

14. 고독은 의존심에서 온다. 징징거리지 말고 당당한 나르시시즘으로 고독에 맞서야 한다. 나의 고독을 '남'에 의해 위로 받으면, 그만큼 그에게 간섭받게 마련이다. 간섭을 받게 되면 당연히 그의 눈치를 안 볼 수 없게 되고, 고독보다도 더 큰 괴로움이 뒤따라오게 된다. 부디 '눈치의 노예'가 되지는 마라.

 

 

14. 무슨 일을 당하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 있는 버릇을 들여야 한다. 과도하게 기뻐하거나 슬퍼할 필요도 없다. 긍정적 허무주의야말로 고민으로 점철된 우리네 인생길에 위안을 줄 수 있는 유일한 친구가 된다. 인생은 어차피 허무하고 부질없는 것이다.

 

 

15. 너무 악착같이 덤벼들면 안 된다. '돼도 그만 안 돼도 그만' 이라는 태도로 매사에 임하는 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
LIST